무안군, 결국 소멸위험지역 포함
상태바
무안군, 결국 소멸위험지역 포함
  • 서상용 기자
  • 승인 2020.07.06 18: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악신도시 제외 9개 읍·면 모두 소멸위험지역
몽탄면 가임기 여성 1명에 노인 9명 거주 최악
코로나19 수도권 전입 2배 증가 20대가 75.5%

남악신도시 성장세로 전남 군단위 중 유일하게 지방소멸위험지역에서 벗어나 있던 무안군이 결국 올해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무안군은 남악신도시를 제외한 전 지역이 소멸위험지역이고 그 중 몽탄면은 가임기 여성 1명에 노인이 9명꼴로 거주해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높았다.

무안군 삼향읍 남악신도시
무안군 삼향읍 남악신도시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연구위원이 7월 6일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19와 지역의 기회’라는 제목의 보고서에서 무안군이 처음으로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무안군은 지난해 하반기 소멸위험지수 0.501로 소멸위험지역에서 가까스로 벗어나 있었다. 소멸위험지수란 한 지역의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고령인구로 나눈 값인데 0.5 미만인 곳을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한다. 가임기 여성 인구가 고령인구의 절반에 미치지 못하면 출산율 저조와 고령화에 따른 인구감소로 지역이 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무안군은 그동안 전남 17개 군단위 중 유일하게 소멸위험지역이 아니었지만 올해 5월 기준 인구통계를 기초로 한 분석에서 소멸위험지수 0.487을 기록해 처음으로 0.5 미만으로 내려갔다. 지방소멸위험분류는 1등급(소멸위험지수 1.5이상) 소멸위험 매우 낮음, 2등급(0.1~1.5미만) 소멸위험 보통, 3등급(0.5~1.0미만) 주의단계, 4등급(0.2~0.5미만) 소멸위험진입 단계, 5등급 0.2미만)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전남 22개 시군 인구소멸위험지수
2020년 5월 기준 전남 22개 시군 인구소멸위험지수

전남에서는 고흥군이 0.136으로 지방소멸위험이 가장 컸다. 다음이 0.162를 기록한 신안군이다. 보성군(0.166), 함평군(0.179), 곡성군(0.189)이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전남 군단위는 모두 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그나마 무안군과 화순군(0.331), 영암군(0.312)이 소멸위험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단위에선 나주시가 처음으로 지방소멸위험지역에 포함됐다. 나주시는 지방소멸위험지수 0.499를 기록했다. 남악신도시가 개발되고 있는 무안군과 같이 혁신도시가 개발되고 있지만 소멸위험의 수렁을 비켜가지 못했다. 광양시가 0.895로 소멸위험지수가 가장 낮았다.

무안군 읍면별 인구소멸위험지수
2020년 5월 기준 무안군 읍면별 인구소멸위험지수

무안군은 남악출장소를 제외한 전 지역이 소멸위험지역으로 분류됐다. 가임기 여성 152명이 사는데 반해 노인 1,358명이 거주하는 몽탄면이 0.112로 소멸위험이 가장 컸다. 가임기 여성 한명에 노인 9명이 살고 있는 셈이다.

이어 해제면이 가임기 여성 242명, 노인인구 2,059명이 거주해 0.118로 몽탄면과 소멸위험 쌍벽을 이뤘다. 현경면(0.121), 망운면(0.154), 운남면(0.168), 일로읍(0.174)이 소멸고위험지역인 5등급에 속했다.

이어 삼향읍(남악제외)이 0.209, 청계면 0.233, 무안읍 0.461로 소멸위험 진입단계인 4등급을 기록했다.

반면 인구 3만4,061명이 거주하는 남악신도시는 가임기 여성 5,121명에 노인인구 1,546명이 거주해 지방소멸위험지수 3.312로 1등급을 받았다. 노인 1명에 가임기 여성 3.312명이 거주하고 있다는 뜻이다.

무안군 거주인구의 41.8%가 사는 젊은 도시 남악이 그동안 무안군의 소멸위험을 줄여왔지만 남악지구 개발이 마무리돼 인구 정체현상이 빚어지면서 소멸위험도 커졌다. 다행히 오룡지구 입주가 7월 말부터 시작되면 젊은 층 인구 유입으로 소멸위험지역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편, 코로나19가 지방소멸 위험을 가속화 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상호 연구위원이 국가통계포털의 인구이동통계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 3~4월 수도권 순유입 인구는 2만7,500명이었다. 이는 전년 동기 1만2,800명보다 2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연령별로는 수도권 유입인구 4분의 3이상을 20대가 차지했다. 2020년 3~4월 수도권 유입인구 중 20~24세 43.4%(1만1,925명), 25~29세 32.1%(8,816명)로 20대 비중은 75.5%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지방소멸 위험도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228개 시군구 기준 소멸위험지역은 2019년 5월 93개(40.8%)에서 2020년 4월 105개(46.1%)로 12곳 증가했다. 이 같은 수치는 각 연도 5월 기준으로 2017~2018년 기간 동안 4곳, 2018~2019년 기간 동안 4곳이 증가한 것과 비교할 때 가파른 상승세다.

읍면동 기준 소멸위험지역 역시 2017년 5월 1,483곳(전체 3,549 곳)에서 2018년 5월 1,554곳(전체 3,555곳), 2019년 5월 1,617곳(전체 3,564곳), 2020년 4월 1,702곳(전체 3,545곳)으로 증가했다.

이 연구위원은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산업과 지역에 따른 영향은 향후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날 것이므로 위기 극복을 위한 대응 체계도 산업-지역의 특성에 따라 달라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