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호 칼럼] 풀로 소를 키우자!
상태바
[정영호 칼럼] 풀로 소를 키우자!
  • 무안신안뉴스 기자
  • 승인 2020.10.06 14: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주농업연구소 정영호
자주농업연구소 정영호
자주농업연구소 정영호

얼마 전 젖소 암송아지 세 마리를 구입했다. 생후 3개월 령으로 분유 떼기다. 가격은 마리당 70,80만원을 주었다. 목적은 현재 사육중인 염소 대신 풀로 젖소를 키워서 소규모 자급축산을 실현해 보기 위해서다. 젖소 한 마리를 풀로 키우는데 필요한 초지면적은 대략 600여 평이라고 한다. 3000평 즉 1ha 면적 초지에서 최대 6마리 소를 사육할 수 있다. 벼농사 경우 평당 수익이 2천원 내외로 600평 농사를 통해 120만원 수익이 가능하다. 밭농사 경우는 작물별로 편차가 심하기에 정확한 평당 수익을 계산하기는 어렵지만 평균 수익이 벼농사보다는 안정적이지 못하고 수익 또한 떨어진다. 풀로 소를 키운다면 벼농사를 통한 수익 이상은 가능하다고 판단하여 나름 실험적인 도전에 나섰다. 기존 한우사육방식인 배합사료 급여는 중단하고 최대한 풀 사료 위주로 사육해보려 한다. 젖소를 선택한 것은 송아지 입식 비용이 한우송아지와 비교해 1/5정도로 저렴하고 성질이 온순하고 방목사육에 강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송아지 원가가 낮아 고기 판매가 또한 저렴하게 낮출 수 있다고 판단되어서다.

이 실험의 목적은 한국형 소규모자급축산의 방향을 모색함에 있다.

아직도 농업규모화가 한국농업의 대안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주류이지만 규모화가 불러온 결과에 대해서 냉철한 평가는 필요하다. 농지면적의 한계 때문에 규모화가 추진될수록 농촌사회의 붕괴는 가속화되어왔다. 억대농부로 불리는 규모화 된 농가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수많은 소농과 가족농이 퇴출되었고 그 빈자리를 외국인 노동자들이 채우고 있다. 규모화를 통해 억대 농부는 양산해 낼 수 있지만 농촌사회의 급격한 붕괴를 촉진하고 있다. 문재인 정권 출범과 함께 이러한 농업규모화의 부작용에 대한 반성으로 소농육성에 관한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다. 현장에서 실현가능한 구체적인 소농육성의 방안이 모색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한국 농가평균 경지면적이 1ha내외인 점에 감안해 상대적 수익성이 안정적인 논농사 기준 1ha 논농사를 통해 벌어들일 수 있는 수익은 일모작의 경우 6백만 원 내외로 도시노동자 최저인건비 3개월분 정도다. 이모작을 한다하여도 천만 원 내외로 도시노동자 5개월 최저인건비로 사실상 생존이 불가능하다. 비닐하우스 과수작물 등 시설재배를 통해 수익성을 높일 수 있으나 초기투자비용을 감안한다면 별반 큰 차이를 얻기 어렵다. 한 가족의 최저 생계유지가 가능한 최저 경작면적은 최저 3ha 이상이 되어야 한다. 3ha는 정부가 정한 기준에 의하면 대농으로 소농육성에 관한 정부정책이 얼마나 비현실적인 정책인지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소농 육성의 방안으로 축산을 선택한 것은 축산업이 경제적 비중이 가장 높고 고부가가치 산업이기 때문이다. 풀 재배를 통해 사료를 자급하고 배합사료에 의존하는 기존 축산방식을 극복해 보자는 것이다. 또한 관행 농사에 비해 풀 농사가 갖는 높은 환경적 가치를 이용하자는 것이다. 문재인 정권이 추진 중인 그린뉴딜 정책에는 솔직히 농업이 배제되어 있다. 현재 농업에서 화학비료와 농약 배합사료를 통해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문제의 대안으로 풀 농사가 갖는 경쟁력을 활용하자는 것이다. 풀 농사를 통해 탄소발생량을 현저하게 줄여나갈수 있다. 또한 진정한 경축순환농업을 실현할 수 있으며 국민에게 풀로 키운 안전한 소고기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연작피해가 극심한 무안 양파농사의 대안으로 풀 농사는 적합하다.

촌부가 고민 중인 이 내용을 왜 학자들은 연구대상에 올리지 못하는지? 아니면 일부러 연구를 회피하는지? 알 수 없다. 탁상머리 행정을 버리고 현장 농업에 기반을 둔 농업정책이 만들어져야 그나마 붕괴중인 농업과 농촌을 지킬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