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호 칼럼]기후위기 대안 ‘부직포 농법’
상태바
[정영호 칼럼]기후위기 대안 ‘부직포 농법’
  • 무안신안뉴스 기자
  • 승인 2020.11.03 14: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주농업연구소 정영호
자주농업연구소 정영호
자주농업연구소 정영호

2020년은 극심한 기후위기의 해다. 연초부터 냉해피해를 필두로 3개월간 이어진 기나긴 장마와 잦은 태풍. 이로 인해 천문학적인 농업피해가 발생했고 농민의 고통은 이루다 말로 표현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환경파괴와 기후위기는 직접적 현실이며 1차 산업인 농수축산업은 절체절명의 위기다. 정부차원에서 그린뉴딜 정책을 주장하고 있지만 농업에 대한 대책은 거의 전무하다. 기후위기에도 농업은 여전히 뒷전이다.

2020년 기나긴 장마 속에 유기농 농가 또한 피해가 심각했다. 일조량이 부족하고 습해피해가 심하면서 전체적으로 수확량이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존하는 관행농법 보다 훨씬 감소하였다. 기후위기 시대에 어떻게 하면 농약과 화학비료 없이 유기농을 실현할지에 고민이 커졌다.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우기에는 이제 야채농사를 포기해야 할 것 같았다. ‘비닐하우스만이 대안이다’는 설이 널리 확장되고 있었다. 그러던 중 어느 날 유투브에서 부직포 농법을 접하게 되었다. 작물에 비닐멀칭 대신 부직포 멀칭을 하게 되면 저 고온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벌레피해가 아예 없으며 작물이 잘 자란다는 것이었다.

부직포 농법으로 키운 유기농 농작물

속는 셈치고 가을 김장채소를 부직포 농법으로 도전해 보았다. 9월 중순이 되어서야 배추모종을 심고 무 씨앗을 파종한 후 부직포 터널을 씌웠다. 상추는 10월이 되어 파종한 후 부직포 터널을 만들어 주었다.

그리고 한 달반이 지난 후 무를 뽑아 김치를 담그고 상추를 먹어보았다. 부직포 농법으로 야채를 키워보겠다고 하자 주변 농부들이 부직포 농법으로 농사지으면 일조량이 부족해 맛이 떨어질 것을 우려했다. 그러나 우려는 경험해 보지 못한 기우에 그쳤다. 화학비료와 농약 없이 퇴비로만 키운 무로 담근 김치는 상상이상의 맛이 났다. 유기농의 특징인 약간의 질긴 맛이 나지만 단단하여 쉽게 물러지지 않고 특유의 아삭한 맛이 났다. 상추 또한 연하지 않고 아삭한 맛이 일품이었다. 기대 이상의 효과였다.

부직포 농법은 우선 농약과 화학비료를 완벽하게 극복시켰다. 살충제가 없어도 벌레 피해 없이 야채를 깨끗하게 키울 수 있다. 여기에 부직포가 일정의 습도를 조절해 균에 의한 피해 또한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화학비료를 주지 않아도 작물은 잘 자란다. 또한 냉해로부터 추위를 막아주고 고온 피해가 줄어 오히려 작물이 생육하기에 최적의 조건을 만들어 주었다. 부직포를 활용하면 보름정도 농사의 시기를 앞당기고 뒤로 늘릴 수 있다. 또한 부직포는 비닐과 비교해서 장기 재사용이 가능해 자원절감 효과를 낼 수 있다. 빛은 90% 투과시켜 작물의 성장과 맛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린뉴딜의 핵심은 탄소 발생량 감축인데 탄소발생의 근원인 농약과 화학비료 사용량을 완전히 줄일 수 있다. 또한 비닐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된다. 이미 농업에서 바닥에 사용하는 비닐문제는 심각한 문제 중 하나다.

이것만으로도 정부가 직접적으로 나서서 이 농법을 지원해야 할 이유가 충분하다.

대통령이 전면에 나서서 기후위기 시대 그린뉴딜을 주장하고 있다. 그린뉴딜 농업은 현대 농업의 핵심 농자재인 화학비료 농약 배합사료를 극복하는 농업일 것이다. 그것은 또한 농업주권의 회복문제이기도 하다. 농업 생산비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화학비료와 농약 배합사료를 극복하는 방안을 찾는데 국가적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