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먹거리의 순환 고리를 주민이 다함께 꿰어야 한다.
상태바
[칼럼]먹거리의 순환 고리를 주민이 다함께 꿰어야 한다.
  • 무안신안뉴스 기자
  • 승인 2022.09.06 13: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안군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추진단 사무국장 서정찬
무안군농촌신활력플러스사업추진단 사무국장 서정찬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민의 복리증진을 위해 다양한 정책과 사업을 펼치지만, 농업과 농촌을 기반으로 둔 곳이라면 먹거리만큼 중요한 것은 없으리라 본다. 이러한 먹거리에 관련한 이야기를 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로컬푸드이고, 푸드플랜이다.

무안군은 올해 5월에 무안군 지역 푸드플랜 연구 용역이 마무리되었다. 푸드플랜은 먹거리에 대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미래에 대한 세부 실행계획과 이를 위한 먹거리위원회 등 거버넌스 구축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용역이 진행되는 동안 주민 설명회와 간담회 등이 진행되었고, 이러한 자리에 참여한 지역민은 먹거리의 종합계획에 대한 관심과 열망이 뜨거웠지만, 연구용역이 이를 충분히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관내 모 신문사는 무안군 푸드플랜 관련하여 1년 이상의 시간 동안 여러 번의 기사를 통해 무안군의 용역 추진 방향과 내용에 있어 부정적인 기사를 쏟아내었다. 1억여 원이라는 사업비가 투여되고, 전남권을 대표하는 국립목포대학교에서 실행한 연구용역이었음에도, 2021년 11월 17일자 1면 기사에 ‘무안푸드플랜 “엉터리”’라는 제목으로 혹평까지 하였다.

과정이야 어찌되었든 연구 용역이 수행되는 1년의 시간동안 많은 일들이 일어났다. 먼저 국가의 정권이 바뀌었다. 국가의 균형발전을 위해 사람이 돌아오는 농산어촌을 만들겠다는 전략으로 83번째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 기반 조성 과제로 야심차게 국가 및 지역단위 푸드플랜 수립을 과제로 내걸었던 민주당의 문재인 정부는 막을 내렸다. 새롭게 정권을 잡은 국민의힘 윤석열 정부의 110대 과제 안에 푸드플랜이나 먹거리순환체계에 대한 내용이 자취를 감추었다.

국가의 권력이 바뀌었다고 해서 지역의 푸드플랜이 좌초되고 사라지는 정책이 될까? 정권이 바뀌어 정치에 대한 관심이 달라질 수 있겠지만, 먹거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달라지지는 않는다. 농촌과 농업이 존속하는 한 먹거리의 순환체계는 생존의 문제에 있어 가장 핵심이 되는 과제이기 때문이다. 윤석열 정부에서는 ‘농업의 미래 성장 산업화’ 등의 국정 과제를 제시한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무안군 푸드플랜 연구용역은 2023년부터 2026년까지 5개년 동안 366억 원(국비 149억, 도비 2억, 군비 182억, 자부담 33억)을 투입하여 먹거리의 순환체계를 확보해 나가는 내용으로 담고 있다. 당장 내년에 44억 정도의 예산이 세워져야 한다. 각 부서별로 연구용역에서 제시한 예산을 세우는지를 순환체계에 있는 실행주체들은 잘 지켜봐야 한다.

세상에 완벽한 계획은 없다. 계획은 실행 과정에서 주변 환경에 따라 변경할 수도 있다. 중요한 것은 막대한 세금을 들여 전문용역기관에서 제시한 결과물에 대해 행정은 물론이고 민간의 각 주체들이 함께 사업 실행과 목표 달성에 대한 지속적인 토론과 협의를 펼쳐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푸드플랜이라는 이름이 ‘먹거리 계획’이든 ‘먹거리 전략’으로 바뀌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결국 지역민의 먹거리를 ‘생산-가공(융복합)-유통-소비(복지)-재활용(폐기)’라는 선순환체계를 지속적으로 만들어 내야하는 것이 가장 큰 목표가 되어야 한다.

이미 지역 내 먹거리 순환체계는 진행 중에 있으며 각 분야별로 그 역할을 해 나가고 있다. 단지 무안군에서 먹거리에 대한 단편적인 예산이, 먹거리의 순환체계를 만드는 데 어떻게 편성이 되어야 하는지를 적극 고민해 나가야 한다. 예를 들어 2019년 무안군 관내 학교급식만을 보더라도 전체 89개 품목 중 31%만이, 전체 수량 109톤 중 41%만이, 전체 금액 6억 중 28%만이 무안산이 차지하고 있는 것을 앞으로 더 개선해 보자는 것이다. 이렇게 학교 급식과 공공급식, 남악을 중심으로 위치한 다양한 공공기관에 투입되는 재료를 기획생산을 통해 무안지역의 농산물과 가공식품으로 채워보자는 것이 핵심인 것이다.

푸드플랜 전문가인 지역파트너플러스 정천섭 대표는 ‘푸드플랜은 주민이 함께 차리는 밥상’이라고 하였다. 지자체장이 강한 의지를 보여도, 전담 부서를 설치하여 공무원이 배치되더라도, 실행주체인 주민이 함께 성장하지 못하면 튼튼한 순환체계를 갖추기 힘들다. 순환체계에 있는 실행주체들의 조직화와 역량이 키워져야 한다. 이를 위해 협치(거버넌스)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중간지원 체계가 갖추어져야 한다. 중간지원 조직이 갖추어져야 다양한 정부부처의 사업을 적극 발굴하고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순환체계의 고리를 잘 이어주고 보다 튼튼히 할 수 있는 사회적경제조직의 발굴과 육성은 물론이고 지역활동가를 지속적으로 양성해야 한다.

우리 속담에 ‘구슬은 꿰어야 보배’라는 말이 있다. 푸드플랜 연구용역보다 더 나은 계획을 바라만 볼 수 없다. 컨트롤타워 기능의 부서가 세워지기만을 기다릴 수 없다. 이미 우리는 앞을 향해 가고 있고, 이러한 먹거리의 순환체계를 확고하게 갖추기 위해 행정은 물론이고 각 주체들이 다함께 바늘과 실을 들고 이러한 순환 고리에 적극 달려들어야 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